본문 바로가기

아리스토텔레스8

로버트 그로스테스트(Robert Grosseteste, 1175~1253) - 과학적 방법론과 신학 중세 철학의 빛, 로버트 그로스테스트(Robert Grosseteste) - 과학과 신학의 통합자안녕하세요, 독자 여러분! 오늘은 많은 사람들에게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중세 유럽 지성사에 큰 족적을 남긴 철학자이자 과학자, 신학자였던 로버트 그로스테스트(Robert Grosseteste, 1175~1253)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합니다.현대 시대에 철학을 배워야 하는 이유우리는 왜 현대 시대에 철학을 배워야 할까요? 인공지능, 빅데이터, 우주 탐사와 같은 첨단 기술이 발전하는 시대에 수백 년 전 사상가들의 생각을 공부하는 것이 어떤 의미가 있을까요?철학은 모든 학문의 근원입니다. '철학(philosophy)'이라는 단어 자체가 그리스어로 '지혜에 대한 사랑(philo-sophia)'을 의미합니다. 철학은 .. 2025. 3. 17.
테오프라스토스(Theophrastus, 기원전 371~287) - 식물학과 논리학 연구, 아리스토텔레스 계승 테오프라스토스: 아리스토텔레스의 후계자이자 식물학의 아버지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고대 그리스의 위대한 철학자이자 과학자인 테오프라스토스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그는 아리스토텔레스의 후계자이자 '식물학의 아버지'로 불리는 인물인데요, 그의 생애와 업적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철학을 배워야 하는 이유본격적인 이야기에 앞서, 우리가 왜 철학을 배워야 하는지 생각해볼까요? 철학은 단순한 지식의 축적이 아닌, 우리의 사고방식과 세계관을 형성하는 근본적인 틀을 제공합니다. 테오프라스토스와 같은 고대 철학자들의 사상은 현대 사회의 과학, 윤리, 정치, 교육 등 다양한 분야의 기초가 되었습니다. 철학을 통해 우리는 비판적 사고력을 키우고, 삶의 본질적인 질문들에 대한 답을 스스로 찾아가는 여정을 시작할 .. 2025. 3. 17.
후안 히네스 데 세풀베다(Juan Ginés de Sepúlveda, 1494-1573) - 스페인 인문주의자로 신세계 원주민에 대한 정복 정당화 이론을 발전시켜 논쟁을 불러일으킨 철학자 후안 히네스 데 세풀베다: 16세기 스페인의 논쟁적 인문주의자후안 히네스 데 세풀베다(Juan Ginés de Sepúlveda, 1494-1573)는 스페인 르네상스 시대의 철학자, 신학자, 인문주의자로, 특히 아메리카 원주민에 대한 스페인의 정복과 식민화를 정당화하는 논쟁으로 역사에 기록되었습니다.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의 전문가였던 그는 스페인 제국의 지적 옹호자로서 신세계에 대한 스페인의 통치와 원주민들의 "자연적 열등함"에 관한 이론을 발전시켰습니다. 그의 사상은 당시 스페인의 식민 정책에 영향을 미쳤을 뿐만 아니라, 인류의 평등과 권리에 관한 초기 논쟁의 중요한 부분을 형성했습니다.생애와 교육초기 생애와 교육후안 히네스 데 세풀베다는 1494년 스페인 코르도바 근처의 포소블랑코(Pozoblanco.. 2025. 3. 15.
아베로에스(Averroes/Ibn Rushd, 1126-1198) - 아리스토텔레스 작품에 대한 주석으로 유명한 이슬람 철학자로, 이슬람과 서구 철학 사이의 중요한 가교 역할 동서양 철학의 가교, 아베로에스(Averroes/Ibn Rushd): 이슬람 철학의 거장중세 시대, 유럽이 암흑기라 불리던 때 이슬람 세계에서는 학문과 철학이 꽃피고 있었습니다. 그 중심에 서 있던 위대한 사상가 중 한 명이 바로 아베로에스(Averroes), 아랍어 이름으로는 이븐 루슈드(Ibn Rushd, 1126-1198)입니다. 그는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의 위대한 해석자이자, 이슬람 철학의 거장으로서 동서양 사상의 교량 역할을 했습니다. 오늘은 이 놀라운 철학자의 생애와 사상, 그리고 역사적 의의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생애와 시대적 배경아베로에스는 1126년 스페인 안달루시아 지방의 코르도바(Córdoba)에서 태어났습니다. 당시 이 지역은 이슬람 무어인들이 통치하던 알모하드 왕조의 영토였습.. 2025. 3. 9.
앨라스데어 매킨타이어(Alasdair MacIntyre, 1929-) - 현대 덕 윤리학의 부활을 이끈 철학자로 『덕의 상실(After Virtue)』을 통해 아리스토텔레스적 전통을 현대 윤리학에 재도입 현대 윤리학의 거장, 앨라스데어 매킨타이어(Alasdair MacIntyre)앨라스데어 매킨타이어(Alasdair MacIntyre)는 1929년 1월 12일 스코틀랜드 글래스고에서 태어난 세계적인 철학자입니다. 그는 현대 윤리학과 정치철학 분야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학자 중 한 명으로, 특히 덕 윤리학(virtue ethics)의 부활에 크게 기여한 인물입니다. 오늘은 이 위대한 철학자의 생애와 사상, 그리고 현대 철학에 미친 영향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생애와 학문적 여정매킨타이어는 스코틀랜드의 노동자 계급 가정에서 태어났습니다. 그의 아버지는 의사였고, 어머니는 간호사였습니다. 어린 시절부터 뛰어난 지적 능력을 보인 그는 퀸즈 대학교 벨파스트(Queen's University Belfast)에.. 2025. 3. 9.
로잘린드 허스트하우스(Rosalind Hursthouse) - 현대 덕 윤리학의 주요 이론가 로잘린드 허스트하우스(Rosalind Hursthouse, 1943-): 현대 덕 윤리학의 선구자로잘린드 허스트하우스는 현대 철학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윤리학자 중 한 명으로, 특히 덕 윤리학(Virtue Ethics)의 부활과 발전에 크게 기여한 철학자입니다. 그녀는 20세기 후반부터 21세기 초까지 윤리학의 논의를 새롭게 형성하며 도덕 철학의 지형을 변화시켰습니다.생애와 학문적 배경로잘린드 허스트하우스는 1943년 영국 브리스톨에서 태어났습니다. 그녀는 옥스퍼드 대학에서 철학을 공부한 후, 1950년대와 60년대에 주로 언어 분석과 논리 실증주의가 지배적이었던 철학적 환경 속에서 학문적 경력을 시작했습니다.초기에는 당시 주류 철학의 흐름에 따라 메타윤리학과 분석철학에 관심을 보였지만, 점차 고대 그.. 2025. 3.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