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철학4 제레미 벤담(Jeremy Bentham, 1748-1832) - 공리주의 철학의 창시자 공리주의의 창시자, 제레미 벤담: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을 추구한 법률가이자 철학자서론: 개혁의 시대를 연 사상가18세기 후반에서 19세기 초반, 산업혁명과 계몽주의의 물결이 유럽 사회를 변화시키던 시기에 영국에서는 한 인물이 당시의 법과 제도, 그리고 도덕의 기반에 근본적인 질문을 던졌습니다. 제레미 벤담(Jeremy Bentham, 1748-1832)은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이라는 간단하면서도 혁명적인 원칙을 바탕으로 공리주의(Utilitarianism) 철학의 기초를 세웠고, 이를 통해 영국과 세계의 법적, 사회적, 정치적 개혁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오늘은 이 독특하고 선구적인 사상가의 생애와 사상, 그리고 그의 유산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조숙한 천재의 성장제레미 벤담은 1748년 2.. 2025. 3. 10. 토마스 홉스(Thomas Hobbes, 1588-1679) - 『리바이어던』의 저자로, 사회계약론과 절대주의 정치철학으로 유명 근대 정치철학의 거장, 토마스 홉스(Thomas Hobbes): 리바이어던의 사상가영국의 철학자 토마스 홉스(Thomas Hobbes, 1588-1679)는 근대 정치철학의 초석을 놓은 사상가로, 그의 대표작 『리바이어던(Leviathan)』은 오늘날까지도 정치학과 철학 분야에서 필수적으로 읽히는 고전입니다. 그는 인간 본성과 국가의 기원, 그리고 통치자와 시민의 관계에 대한 획기적인 이론을 제시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토마스 홉스의 생애와 사상, 그리고 그가 현대 사회에 미친 영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혼란스러운 시대에 태어난 사상가토마스 홉스는 1588년 4월 5일, 영국 웨스트포트(현재의 몰메스버리 근처)에서 태어났습니다. 그가 태어난 해는 스페인의 무적함대가 영국을 침공하려 했던 해로, 홉스는 나.. 2025. 3. 10. 프란시스 베이컨(Francis Bacon, 1561-1626) - 귀납적 추론과 과학적 방법론의 선구자 프란시스 베이컨: 근대 과학의 선구자서론"지식이 곧 힘이다(Knowledge is Power)"라는 유명한 명언을 남긴 프란시스 베이컨(Francis Bacon, 1561-1626)은 영국의 철학자, 정치인, 법률가로서 근대 과학 방법론의 기초를 닦은 위대한 사상가입니다. 그는 경험과 관찰에 기반한 귀납적 방법론을 체계화하여 현대 과학의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습니다. 이 글에서는 베이컨의 생애, 주요 사상, 그리고 그의 철학이 현대 사회에 미친 영향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생애와 정치 경력초기 생애와 교육프란시스 베이컨은 1561년 1월 22일, 영국 런던에서 엘리자베스 1세의 대관인(大官人)이었던 니콜라스 베이컨 경(Sir Nicholas Bacon)과 앤 쿡(Anne Cooke) 사이에서 태어났습.. 2025. 3. 10. 페미니스트 철학자 메리 미지리(Mary Midgley) - 도덕철학과 과학철학 연구 철학자 메리 미지리(Mary Midgley, 1919-2018): 과학과 윤리의 경계를 탐구한 사상가메리 미지리는 20세기의 중요한 영국 철학자로, 과학철학, 동물윤리, 환경윤리 분야에서 큰 발자취를 남겼습니다. 그녀는 과학적 지식과 철학적 사유의 관계를 재정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특히 과학주의(scientism)에 대한 비판적 목소리로 널리 알려졌습니다.생애와 학문적 여정메리 미지리는 1919년 런던에서 태어났습니다. 옥스퍼드 대학교의 서머빌 칼리지에서 고전학을 공부했는데, 이곳에서 그녀는 아이리스 머독, 필리파 풋, 엘리자베스 앤스콤과 같은 후에 유명해진 철학자들과 함께 공부했습니다. 이들은 모두 20세기 후반 철학계에 큰 영향을 미친 여성 철학자들이 되었습니다.미지리의 학문적 경력은 다소.. 2025. 3. 9.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