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읽고 사색하는 철학

존 서얼(John Searle, 1932-) - 언어행위 이론과 마음철학 분야의 권위자로 인공지능에 대한 중국어 방 사고실험과 사회적 실재 구성에 관한 이론 발전

by 아틀란티스황금성 2025. 3. 11.
반응형

존 서얼: 언어, 마음, 의식에 관한 현대 철학의 거장

존 로저스 서얼(John Rogers Searle, 1932-)은 언어철학, 마음철학, 사회철학 분야에서 현대 영미 철학계의 핵심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미국의 철학자입니다. 그는 특히 언어행위 이론(Speech Act Theory), 인공지능에 대한 비판적 논의를 담은 'Chinese Room Argument)', 그리고 '사회적 실재의 구성(The Construction of Social Reality)'에 관한 이론으로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서얼의 철학적 사상과 그의 주요 이론들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생애와 학문적 배경

존 서얼은 1932년 7월 31일 미국 콜로라도주 덴버에서 태어났습니다. 그는 위스콘신 대학교와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교육을 받았으며, 옥스퍼드에서는 J.L. 오스틴(J.L. Austin)의 지도를 받았습니다. 오스틴은 '언어행위 이론'의 창시자로, 그의 영향은 서얼의 후기 철학 작업에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1959년부터 2019년까지 60년 동안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서 철학 교수로 재직했으며, 2000년에는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의 윌리스 S. 과 매리언 슬로컴(Willis S. and Marion Slusser) 철학 석좌교수로 임명되었습니다. 서얼은, 2017년 성희롱 혐의로 인해 버클리 대학이 그의 명예교수 지위를 박탈하기 전까지, 미국 최고의 철학자 중 한 명으로 인정받았습니다.

철학적 사상

언어행위 이론

서얼은 자신의 스승인 오스틴이 시작한 언어행위 이론을 발전시켰습니다. 그의 첫 번째 주요 저서인 "Speech Acts: An Essay in the Philosophy of Language"(1969)에서 그는 언어가 단순히 세계를 기술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종류의 행위를 수행하는 도구라는 관점을 체계화했습니다.

서얼에 따르면, 언어행위는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 기본 범주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단언행위(Assertives): 세계에 대한 사실을 진술하는 행위 (예: "지금 비가 내리고 있다.")
  2. 지시행위(Directives): 청자에게 어떤 행동을 하도록 요청하는 행위 (예: "문을 닫아주세요.")
  3. 위임행위(Commissives): 화자가 미래에 어떤 행동을 하겠다고 약속하는 행위 (예: "내일 책을 돌려주겠습니다.")
  4. 표현행위(Expressives): 화자의 심리적 상태를 표현하는 행위 (예: "축하합니다!")
  5. 선언행위(Declarations): 말함으로써 세계의 상태를 변화시키는 행위 (예: "이 회의를 개회합니다.")

서얼은 또한 '발화행위(illocutionary act)'와 '발화효과행위(perlocutionary act)'를 구분했는데, 전자는 말을 통해 수행하는 행위 자체를, 후자는 그 말이 청자에게 미치는 효과를 의미합니다.

지향성 이론

서얼의 또 다른 중요한 기여는 '지향성(intentionality)' 개념에 관한 것입니다. 그의 저서 "Intentionality: An Essay in the Philosophy of Mind"(1983)에서 그는 지향성을 '마음이 세계를 향해 있는 특성'으로 정의했습니다. 즉, 우리의 믿음, 욕구, 의도, 지각 등은 항상 무언가에 '관한' 것이며, 이것이 마음의 본질적 특성이라는 것입니다.

서얼은 언어적 의미가 이러한 지향성에서 파생된다고 주장했습니다. 언어는 마음의 지향적 상태를 표현하고 전달하는 도구이며, 따라서 언어의 의미는 궁극적으로 마음의 지향성에 의존한다는 것입니다.

중국어 방 논변

서얼이 가장 널리 알려진 공헌 중 하나는 인공지능에 대한 그의 비판, 특히 '중국어 방 논변(Chinese Room Argument)'입니다. 1980년 발표된 이 사고실험은 컴퓨터가 진정한 이해나 의식을 가질 수 있는지에 대한 질문을 제기합니다.

이 사고실험에서, 중국어를 전혀 모르는 사람이 중국어 기호들과 그것을 처리하는 규칙만 담긴 책을 가지고 방 안에 갇혀 있다고 상상해봅니다. 방 밖에서 중국어로 된 질문이 들어오면, 그 사람은 규칙에 따라 적절한 중국어 응답을 내보냅니다. 방 밖의 중국어 사용자에게는 방 안에 중국어를 이해하는 누군가가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 방 안의 사람은 중국어를 전혀 이해하지 못합니다.

서얼은 이 논변을 통해, 컴퓨터 프로그램이 아무리 복잡하더라도 단지 구문론적 규칙에 따라 기호를 처리할 뿐, 그 기호의 의미를 이해하거나 진정한 의식을 가질 수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는 '강한 인공지능(Strong AI)'의 가능성에 대한 근본적인 도전으로 여겨졌습니다.

사회적 실재의 구성

서얼의 후기 작업 중 중요한 부분은 사회적 실재의 본질에 관한 것입니다. 그의 저서 "The Construction of Social Reality"(1995)에서 그는 돈, 결혼, 정부와 같은 사회적 제도가 어떻게 집단적 의도성과 '지위 기능 선언(status function declarations)'을 통해 구성되는지 설명합니다.

서얼에 따르면, 사회적 실재는 "X는 Y로 간주된다"라는 형식의 집단적 수용을 통해 만들어집니다. 예를 들어, 특정 종이 조각(X)은 돈(Y)으로 간주되며, 이러한 집단적 인정이 그것에 특정한 권리와 의무를 부여합니다.

이 이론은 사회 현상의 객관적 실재성과 주관적, 관찰자 의존적 특성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는 데 중요한 통찰을 제공합니다.

주요 저서

서얼은 철학의 여러 분야에 걸쳐 많은 영향력 있는 저서를 출판했습니다:

  1. "Speech Acts: An Essay in the Philosophy of Language"(1969) - 언어행위 이론을 체계화한 주요 저작입니다.
  2. "Expression and Meaning: Studies in the Theory of Speech Acts"(1979) - 언어행위 이론을 더욱 발전시킨 후속 작품입니다.
  3. "Intentionality: An Essay in the Philosophy of Mind"(1983) - 지향성 개념과 마음의 철학에 관한 그의 관점을 제시합니다.
  4. "Minds, Brains and Science"(1984) - 마음과 뇌의 관계, 인공지능, 자유의지에 관한 대중적인 강의를 모은 책입니다.
  5. "The Rediscovery of the Mind"(1992) - 의식에 관한 그의 관점을 상세히 설명한 저서입니다.
  6. "The Construction of Social Reality"(1995) - 사회적 실재의 구성에 관한 그의 이론을 담고 있습니다.
  7. "The Mystery of Consciousness"(1997) - 의식의 본질에 관한 현대 철학의 주요 논쟁을 탐구합니다.
  8. "Rationality in Action"(2001) - 합리성과 행위의 관계에 관한 그의 견해를 제시합니다.
  9. "Making the Social World: The Structure of Human Civilization"(2010) - 인간 사회의 구조와 기능에 관한 그의 이론을 확장합니다.

철학적 입장과 비판

서얼은 스스로를 '생물학적 자연주의자(biological naturalist)'라고 부릅니다. 그는 의식과 지향성이 뇌의 생물학적 과정에 의해 발생하는 실제 현상이라고 주장하면서도, 이러한 현상을 단순히 신경생리학적 용어로 환원할 수 없다고 봅니다.

그의 중국어 방 논변은 많은 논쟁을 불러일으켰습니다. 일부 비평가들은 개별 구성요소(방 안의 사람)가 이해하지 못한다고 해서 시스템 전체(방 전체)가 이해하지 못한다는 결론을 내릴 수 없다고 주장합니다. 이는 '시스템 응답(systems reply)'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그의 생물학적 자연주의에 대해서도, 의식과 같은 주관적 현상이 어떻게 물리적 뇌에서 발생할 수 있는지를 충분히 설명하지 못한다는 비판이 있습니다.

학문적 영향력과 유산

존 서얼의 철학적 작업은 언어철학, 마음철학, 사회철학 분야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그의 언어행위 이론은 언어학, 인지과학, 인공지능 연구에 중요한 기반이 되었으며, 중국어 방 논변은 인공지능과 의식에 관한 지속적인 철학적 토론의 중심에 있습니다.

그의 사회적 실재 이론은 사회학, 인류학, 법학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쳤으며, 제도적 현실의 본질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틀을 제공했습니다.

서얼은 복잡한 철학적 문제들을 명료하게 설명하는 능력으로도 유명하며, 그의 저술은 학자들뿐만 아니라 일반 독자들에게도 접근 가능합니다.

결론

존 서얼은 현대 철학의 가장 중요한 인물 중 한 명으로, 언어, 마음, 의식, 사회에 관한 그의 이론은 철학의 여러 분야에 깊은 영향을 미쳤습니다. 그의 작업은 철학 내에서만 중요한 것이 아니라, 인지과학, 인공지능, 언어학, 사회과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에도 중요한 통찰을 제공합니다.

비록 최근 그의 개인적 행동에 관한 논란이 있었지만, 학문적으로 그의 공헌은 계속해서 현대 철학 담론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서얼의 철학은 언어가 어떻게 작동하고, 마음이 어떻게 세계와 관계를 맺으며, 사회가 어떻게 구성되는지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깊게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 이 블로그에 있는 모든 내용은 종교와는 무관하게 과거 지혜로웠던 철학자에 대한 역사적인 사실을 다루고 있습니다. 따라서 종교적 관점으로 오해하지 마시길 부탁드립니다.

반응형